목차 > 일본의 초등학교•중학교 제도 > 1.일본의 초등학교·중학교 제도
1.일본의 초등학교 · 중학교 제도
취학 의무
일본국민과 같이 취학할 수 있습니다.
- 취학의무가 있는 것은 일본국민으로 일본국내에 주소를 두고 있는 외국인(이하:재일 외국인)에게는 취학의무가 없습니다.
- 그러나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일본의 공립 초 · 중학교에 취학을 원하는 경우에는 취학을 허가하고 있습니다.
- 또 취학 예정자에 해당되는 연령의 아이가 있는 재일 외국인의 보호자에 대해서는 다른 가정과 똑같이 시청에서 취학안내를 송부하고 있습니다.
취학연령
학령 전에는 입학할 수 없습니다.
- 일본의 취학의무 연령은 「자녀가 만 6세가 되는 날의 다음날 부터 최초의 학년 처음부터」발생합니다(4월2일생부터 다음해4월1일생 아이가 같은 학년이 됩니다.)
- 재일 외국인의 경우도 이 연령에 도달하지 않으면 초등학교에 입학할 수 없습니다.
학 년
학년은 4월1일에 시작하여 다음 해 3월31일에 끝납니다.
- 대부분의 외국에서는 학년이「9월에 시작하여 다음해 8월에 끝난다」는 곳이 많고 일본에 와서 아이의 학년을 생각할때 혼란을 겪는 일이 있는 것 같습니다.
1月 2月 3月 4月 5月 6月 7月 8月 9月 10月 11月 12月 일본 平成24年 입학 平成25年 2학년 외국 2012年 입학 2013年 2학년 <예>
외국에서 2012년 8월에 1학년을 마쳤던 A씨가 일본에 왔다. 9월부터 외국에서는 2학년이 되는데…
일본에서는 A씨에게 해당되는 학년은 2학년으로 이미 5개월이 경과하게 됩니다.
학년을 내려서 취학할 수도 있습니다.
- 앞의 <예>에서는 A씨는 2학년으로 편입할 수 있고 1학년으로 편입할 수도 있습니다.
- 단지 학년 도중에 학년의 과정 수료를 인정받아 진급할 수는 없습니다.(편입 후의 승급은 할 수 없음)
- 처음부터 2학년으로 편입하여 1학년의 학습을 하고 학교 생활에 적응한 후에 2학년으로 돌아갈 수는 있습니다.
- 그러나 환경이나 조건이 모두 다르므로 케이스별로 대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
따라서 학년은 보호자와 학교 · 교육위원회와 상담하여결정합니다.
수업료·교과서등
공립 초·중학교의 경우는 일본인의 아동・학생과 같이 취급합니다.
- 수업료는 무료. 교과서는 무상 지급되며 취학원조 조치도 똑 같이 취급합니다.
- 단지 각 학교에 있는「학교집금」이나「급식집금」등은 징수합니다.
방학
야마가타시는 3학기제 학교와 2학기제 학교가 있습니다.
- 일본의 초 중학교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3학기제를실시하고 있으나 시정촌에서 학기를 정할수가 있기 때문에 2학기제를 실시하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.
- 1학기와 2학기 사이에는 여름방학이 있고 2학기와 3학기 사이에는 연말연시 휴업(겨울방학), 3학기와 신년도의 4월 사이에는 봄방학이 있습니다만 시작과 끝나는 날은 각 학교에서 정합니다.
3학기제도, 2학기제도 여름방학, 연말연시, 겨울방학, 봄방학은 변하지 않습니다.
학교 주 5일제
일본에서는 2004년도부터 1주일중 5일 동안(월요일∼금요일)이 수업일이 됩니다.
따라서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은 휴일이 됩니다.
교과등
국어 | 사회 | 산수 | 과학 | 생활 | 음악 | 도화공작 | 가정 | 체육 | 도덕 | 종합적인학습(종합) | 학습(학급활동,클럽활동등) | 외국어활동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・2학년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
|||||
3・4학년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
|||
5・6학년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 ![]() |
![]() | ![]() |
![]() |
국어 | 사회 | 수학 | 과학 | 음악 | 미술 | 보건체육 | 기술,가정 | 외국어 | 도덕 | 종합학습 | 선택교과 | 학급활동 |
---|
통지표·건강 통지표
학교에서 가정에 통지표·건강통지표를 배부하여 학교 생활의 모습을 알리고 있습니다.
- 각 학기말에 「학습면 · 생활면 · 건강면」등의 상태를 보내 학교와 가정을 이어주는 하나의 다리가 되고 있습니다.(학교에 따라 그 배부 방법 · 횟수가 다릅니다.)